본문 바로가기
영화추천

찰리와 초콜릿 공장 책 원작 뮤지컬

by 굿딜리버리 2023. 1. 19.
반응형



1. 원작 소설 작가

찰리와 초콜릿 공장(Chaile and The Chocolate Factory)은 사실 소설을 원작으로 하고 있습니다. 그것도 상당히 오래된 소설이었습니다. 무려 1964년에 발표되었기 때문이었습니다. 영국의 소설가였던 로알드 달 작가가 지은 이야기였습니다. 물론 오래된 이야기였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는 2000년대에 들어서 출간이 되었기 때문에 최근 작품이라고 오해를 사기도 했습니다. 여기서 먼저 이 소설을 지은 로알드 달 작가에 대해서 소개를 하겠습니다. 그는 영국 출신으로 1990년에 사망한 작가였습니다. 특징적으로 그는 키가 2미터에 가까운 198cm였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그는 동화도 썼지만 추리소설이나 미스터리 장르에서도 활동했었습니다. 그래서인지 아동문학에서도 블랙코미디가 있는 이야기로 독자들에게 섬뜩한 분위기를 전달하기도 했습니다. 그는 작가이기 전에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영국에서 파일럿으로 근무했던 이력이 있었습니다.

2. 감독 및 출연진

2005년에 개봉한 찰리와 초콜릿 공장 영화는 팀 버튼이 감독을 맡았습니다. 팀 버튼 감독은 몽환적인 작품세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유명했습니다. 그를 가장 대표했던 영화는 가위손이었습니다. 팀 버튼 감독이기에 찰리와 초콜릿 공장에 몽환적인 느낌이 가미되어 있기도 했습니다. 각본에는 존 어거스트가 제작에는 브래드 그레이와 리처드 D.자넉이 참여했습니다. 상영에 따른 시간은 115분이었고 모두가 관람할 수 있는 작품이기도 했습니다.
뮤지컬 영화였던 만큼 음악을 맡은 이도 중요했습니다. 본 작품은 대니얼 로버트 엘프먼이 음악을 지휘했습니다. 그는 미국 출신으로 헐리우드 영화 음악에서 유명한 인물이었습니다. 특히 본 영화의 감독이었던 팀 버튼 감독과 여러 차례 호흡을 맞추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팀 버튼 감독의 대표작이었던 가위손의 음악도 로버트 엘프먼이 맡았습니다. 오로지 독학으로 음악을 공부했다고 전해져오고 있습니다.
한편, 주인공이었던 찰리의 역할은 프레디 하이모어가 맡았고, 윌리 웡카는 조니 뎁이 맡았습니다.
특히 조니 뎁은 할리우드에서 가장 인기 있는 배우 중의 한 명 입니다. 2015년에 미국인이 가장 선호하는 배우 2위에 올랐으며 1위는 톰 행크스였습니다. 조니 뎁은 원래 록 밴드 멤버로 활동했었는데, 밴드는 분열되고 지인의 권유로 배우를 처음 시작했다고 전해졌습니다. 조니 뎁 역시 팀 버튼 감독의 페르소나라고 불릴 정도로 많은 작품들에서 함께 해왔습니다.
본 영화를 통해 2006년 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에서 신인남우상을 수상한 기록도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

3. 내용소개

가난한 열 두 살 소년 찰리 버켓은 어느 날 할아버지로부터 초콜릿 장인인 윌리 웡카에 대한 이야기를 듣게 되었습니다. 윌리웡카가 가지고 있는 초콜릿 공장은 찰리네 집과 가까웠고 그곳에서 찰리에 할아버지는 근무를 했었습니다. 그 이야기를 들은 다음 날에 마을에 소문이 돌았습니다. 윌리 웡카가 자신의 공장으로 다섯 명의 아이들을 초대해서 구경시켜주겠다는 소식이었습니다. 공장에 들어갈 수 있는 방법은 초콜릿을 구매하여 먹었을 때 그 안에 황금티켓이 있으면 보호자 한 명과 대동하여 공장에 갈 수 있는 것이었습니다. 1번째 당첨자는 초콜릿을 하루에 수십 개씩 먹는 11세 소년이었습니다. 2번째 당첨자는 영국 부잣집 딸이었던 11세 소녀였습니다. 3번째 당첨자는 껌 오래 씹기 대회에 출전하기도 했던 11세 소녀였습니다. 4번째 당첨자역시 11살이었는데 해킹을 특기로 황금티켓을 손에 쥐었습니다. 한편, 너무너무 공장에 가보고 싶었던 찰리는 가난했기 때문에 초콜릿을 살 수 없었는데 우연히 길에서 돈을 주워서 샀던 초콜릿에서 황금티켓을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찰리는 할아버지와 함께 공장으로 들어가게 되었습니다.
사실 윌리 웡카는 자신의 후계자를 찾기 위해 아이들을 공장으로 초대했던 것이었습니다. 과연 이 다섯 명의 아이들 중에서 어떤 아이가 살아남아서 후계자가 되었을 지는 추측이 되시겠지만 그래도 영화를 보며 두 눈으로 확인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

댓글